대한민국 한걸음씩

대한민국 한걸음씩

  • 분류 전체보기 (89)
    • 서울 (32)
      • 강남구 (16)
      • 강북구 (0)
      • 강동구 (2)
      • 강서구 (0)
      • 관악구 (0)
      • 광진구 (0)
      • 구로구 (0)
      • 금천구 (0)
      • 노원구 (0)
      • 도봉구 (0)
      • 동대문구 (0)
      • 동작구 (0)
      • 마포구 (0)
      • 서대문구 (1)
      • 서초구 (1)
      • 성동구 (0)
      • 성북구 (0)
      • 송파구 (2)
      • 양천구 (0)
      • 영등포구 (0)
      • 용산구 (0)
      • 은평구 (0)
      • 종로구 (4)
      • 중구 (1)
      • 중랑구 (1)
    • 부산 (2)
      • 금정구 (1)
      • 영도구 (1)
    • 경기도 (2)
      • 양평군 (1)
    • 강원도 (31)
      • 고성군 (31)
    • 충청남도 (2)
      • 공주시 (2)
    • 경상북도 (3)
      • 안동시 (1)
      • 영주시 (2)
      • 봉화읍 (0)
    • 경상남도 (3)
      • 통영시 (3)
    • 전라북도 (2)
      • 익산시 (2)
    • 전라남도 (3)
      • 순천시 (1)
      • 담양군 (1)
      • 해남군 (1)
    • 제주도 (9)
      • 제주시 (1)
      • 서귀포시 (0)
    • 해외 (0)
      • 중국 (0)
      • 일본 (0)
    • hwannystory (0)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대한민국 한걸음씩

컨텐츠 검색

태그

문화재 제주도 화암사 중문 배낭여행 역사 백제 전설 강원도 강남구 여행 여미지 고성군 건봉사 청동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설화 제주 중문관광단지 서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무형문화재(1)

  • [문화재] 각자장 이창석(무형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반암리 230-15 지정일: 2004년 5월 21일 지정번호 : 무형문화재 제 16호 각자장은 글자를 새기는 장인으로, 각자 작품은 인쇄를 목적으로 하는 목판(木版)과 목활자(木活字), 건물에 거는 편액(扁額)·시판(詩板) 등 현판류(縣板) 등이 주종을 이루며, 의걸이장과 책장 등 목가구에도 활용되는 등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각자문화는 근래에 이르러 사진술과 인쇄물의 발달로 인해 급속히 사라져 가고 있는 실정이므로 전통기술의 보존·계승을 위하여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창석은 1978년부터 각자를 해 온 장인으로, 『월인석보(月印釋譜)』 권22, 『훈민정음(訓民正音)』 해례본(解例本)과 언해본(諺解本), 『집왕성교서(集王聖敎書)』 등의 목판 전..

    2012.01.06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